2024.05.09 (목)

  • 맑음속초8.1℃
  • 맑음11.0℃
  • 맑음철원11.5℃
  • 맑음동두천11.4℃
  • 맑음파주9.8℃
  • 맑음대관령1.1℃
  • 맑음춘천11.2℃
  • 맑음백령도12.1℃
  • 맑음북강릉8.1℃
  • 맑음강릉9.8℃
  • 맑음동해7.9℃
  • 맑음서울13.3℃
  • 맑음인천12.4℃
  • 맑음원주13.4℃
  • 맑음울릉도8.6℃
  • 맑음수원11.2℃
  • 맑음영월9.2℃
  • 맑음충주11.0℃
  • 맑음서산9.9℃
  • 맑음울진8.4℃
  • 맑음청주14.9℃
  • 맑음대전12.4℃
  • 맑음추풍령7.4℃
  • 맑음안동9.3℃
  • 맑음상주10.0℃
  • 맑음포항10.8℃
  • 맑음군산11.3℃
  • 맑음대구10.5℃
  • 맑음전주13.4℃
  • 맑음울산8.8℃
  • 맑음창원10.8℃
  • 맑음광주13.5℃
  • 맑음부산11.2℃
  • 맑음통영10.7℃
  • 맑음목포13.3℃
  • 맑음여수12.7℃
  • 맑음흑산도12.0℃
  • 구름조금완도13.0℃
  • 맑음고창10.0℃
  • 맑음순천9.1℃
  • 맑음홍성(예)11.7℃
  • 맑음11.0℃
  • 구름조금제주14.5℃
  • 맑음고산13.6℃
  • 흐림성산13.3℃
  • 구름조금서귀포14.0℃
  • 맑음진주9.4℃
  • 맑음강화11.9℃
  • 맑음양평14.2℃
  • 맑음이천13.7℃
  • 맑음인제7.8℃
  • 맑음홍천10.5℃
  • 맑음태백2.0℃
  • 맑음정선군6.2℃
  • 맑음제천8.7℃
  • 맑음보은9.6℃
  • 맑음천안13.0℃
  • 맑음보령10.1℃
  • 맑음부여11.2℃
  • 맑음금산9.1℃
  • 맑음12.0℃
  • 맑음부안11.6℃
  • 맑음임실9.1℃
  • 맑음정읍10.1℃
  • 맑음남원10.1℃
  • 맑음장수7.4℃
  • 맑음고창군9.6℃
  • 맑음영광군10.6℃
  • 맑음김해시10.7℃
  • 맑음순창군11.4℃
  • 맑음북창원11.5℃
  • 맑음양산시11.0℃
  • 맑음보성군11.1℃
  • 맑음강진군12.6℃
  • 맑음장흥13.9℃
  • 맑음해남10.5℃
  • 맑음고흥10.0℃
  • 맑음의령군9.1℃
  • 맑음함양군8.3℃
  • 맑음광양시12.0℃
  • 맑음진도군10.0℃
  • 맑음봉화6.9℃
  • 맑음영주8.8℃
  • 맑음문경9.5℃
  • 맑음청송군5.8℃
  • 맑음영덕7.0℃
  • 맑음의성8.0℃
  • 맑음구미10.4℃
  • 맑음영천7.9℃
  • 맑음경주시7.8℃
  • 맑음거창8.2℃
  • 맑음합천9.7℃
  • 맑음밀양10.6℃
  • 맑음산청9.0℃
  • 맑음거제10.4℃
  • 맑음남해11.9℃
  • 맑음9.4℃
기상청 제공
부여 부소산성 판축성벽 조사결과 23일 온라인 공개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역뉴스

부여 부소산성 판축성벽 조사결과 23일 온라인 공개


  문화재청(청장 김현모)의 허가를 받아 부여군(군수 박정현)과 (재)백제고도문화재단(원장 이기운)에서 추진하는 부여 부소산성(사적 제5호) 발굴조사에서 삼국 시대 백제 성벽과 관련 시설(추정 서문지), 통일신라~고려에 걸쳐 거듭해서 쌓인 성벽을 확인하였다. 이들 현장은 2월 23일 오후 3시 문화재청과 부여군 유튜브 채널을 통해 온라인으로 공개된다.
  * 발굴현장: 충남 부여군 부여읍 관북리 10-1번지 일원 
  * 문화재청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hannel/UCxWZbyZ-UhohFp3BYNh2d7Q
  * 부여군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hannel/UCNGZC3GHfLo4o55WoGAXIqQ


  부소산성은 부여지역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핵심적 위치에 자리하고 있다. 특히, 백제 마지막 도읍으로 알려진 추정 사비 왕궁지의 북쪽 배후에 해당하기 때문에 왕실의 후원(後苑)이자, 유사시 도피처의 기능도 있으므로 왕궁에 버금가는 시설을 겸비한 유적이다. 1980~1990년대에 걸쳐 국립문화재연구소와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에서 펼친 발굴조사는 동성벽과 북성벽, 남성벽을 대상으로 한 터라 서성벽과 서문지에 대해서는 추정만 될 뿐 정확한 범위와 축성의 실태를 알 수 없었다.


  이후 20여 년 만에 재개된 이번 발굴조사는 백제의 추정 서문지와 그 주변 성벽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서성벽의 문지와 함께 부소산 전체를 아우르는 백제 포곡식 성의 정확한 동선을 파악하였고, 배수와 출입 관련 시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부소산의 남동쪽 정상부를 중심으로 형성된 통일신라의 테뫼식 성의 축조 방식과 시기마다 달라지는 부소산성 성벽의 변화 양상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도 얻을 수 있었다. 
  * 포곡식 성: 산 정상부에서 계곡을 포용하고 내려온 능선부에 성벽을 축조한 산성
  * 테뫼식 성: 산 정상부를 둘러서 쌓은 산성
 

  부소산성 내 백제 포곡식 성은 기본적으로 판축으로 축조되었고, 이외에도 판축 외벽만을 석축하는 방식, 두 겹 이상 판축하는 방식, 내벽에 배수로를 부석하는 방식 등이 확인된 바 있다.
이번에 조사된 서성벽 구간은 부소산성 성벽 중에 중심토루가 가장 견고하고 반듯한 상태로 확인되었다. 성벽의 판축층 너비는 약 4.8~4.9m이며 현재 남아있는 성벽의 높이는 최대 4.4m 정도로, 훼손된 점을 고려하면 더욱 거대했을 것이다. 또한, 성벽의 중심을 이루는 판축층의 내외벽은 모두 흙으로 보강하였는데, 일부는 가공한 석재를 이용하여 마무리한 특이한 양상도 확인되었다.
  * 토루(土壘): 토성 몸체를 이루는 흙더미
  * 판축: 나무판으로 틀을 만들어 그 안을 흙이나 모래 등을 층상(層狀)으로 넣어 방망이로     찧어서 단단하게 하고 차례로 높게 흙을 쌓아 올리는 기법, 또는 그 쌓아 올린 흙 자체
  * 수축: 기존 성벽을 보수하거나 다시 쌓음


  백제 포곡식 성은 통일신라에 의해 재차 보수작업을 거쳐 꾸준히 활용되었다. 그만큼 부소산성이 중요한 위치였음을 알 수 있다. 통일신라의 성벽 보수는 성 안쪽 벽면으로 와적층과 부석층을 조성하여 방식을 사용하였고, 일부 구간에 한해 석렬이나 석축이 덧대지기도 하였다.


  추정 서문지 지점은 부소산 남록의 추정 사비 왕궁지에서 서복사지를 거쳐 성 내로 진입하는 길목에 해당한다. 이곳은 원래 골짜기를 이루는 지점에 해당하며, 조사결과 백제 성벽 판축층 위로 암거가 형성되어 있었다. 암거의 상부구조는 안타깝게도 남아있지 않지만, 이 주변으로 문지공석, 원형 초석, 매우 잘 치석된 대형 가공석들이 산재해 있어 출입 목적의 구조물이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다.
  * 남록: 산의 남쪽 기슭
  * 서복사지: 부소산 서남쪽 기슭에 위치한 백제 사찰터
  * 암거: 땅 속에 설치한 배수로
  * 문지공석: 성문의 문짝 고정용 목주를 끼우기 위해 구멍을 낸 돌


  백제와 통일신라 성벽이 연접한 지점에서는 백제 성벽 위로 통일신라 테뫼식 성벽이 만들어졌다. 테뫼식 성의 외벽은 기존의 백제 성벽을 수축하여 사용하였지만, 내벽은 백제 성벽 위에 기단석축을 부가하여 축조하였다. 성벽 시설층에서 축성과정 중 유입된 ‘회창7년(會昌七年)’ 명문기와가 출토되어, 성벽의 조성 시기는 9세기 중반 이후임을 알 수 있다.
  * 기단석축: 성벽 축조시 가장 아랫단의 기초에 돌로 만든 축대
  * 회창7년(會昌七年): 會昌은 당나라 무종 때의 연호로, 847년으로 환산


  이번 서성벽과 추정 서문지의 확인을 통해, 백제 사비왕도 내에서도 핵심에 해당하는 성벽의 실체와 그 축성 기술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성과는 최근 한성기와 웅진기 왕성인 풍납토성, 몽촌토성, 공산성의 최근 발굴 성과와 함께 백제 중앙의 수준 높은 축성 기술과 문화를 파악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올해에도 문화재청 백제왕도핵심유적보존관리사업추진단의 협조 하에 백제 서성벽 일대에 대한 발굴조사를 진행하여, 서문지의 존재 여부, 성벽 축조 공정 과정과 기법을 확인할 예정으로 앞으로 고대 토목기술의 복원과 유적 정비를 위한 귀중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크기변환]1. 조사지역의 위치.jpg

<조사지역 위치(노란 선)>



[자료제공 :(www.korea.kr)]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