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6 (금)

  • 구름많음속초24.0℃
  • 구름많음21.9℃
  • 구름조금철원23.3℃
  • 구름조금동두천23.2℃
  • 구름많음파주22.6℃
  • 구름많음대관령24.2℃
  • 구름많음춘천22.6℃
  • 맑음백령도16.1℃
  • 구름많음북강릉24.3℃
  • 구름많음강릉26.5℃
  • 구름많음동해23.9℃
  • 구름조금서울23.3℃
  • 구름조금인천21.0℃
  • 구름조금원주22.9℃
  • 흐림울릉도20.3℃
  • 흐림수원23.0℃
  • 구름많음영월25.1℃
  • 구름많음충주23.4℃
  • 구름많음서산22.5℃
  • 구름많음울진19.9℃
  • 구름많음청주24.2℃
  • 구름많음대전25.5℃
  • 구름많음추풍령24.9℃
  • 구름많음안동22.7℃
  • 구름많음상주25.0℃
  • 흐림포항23.5℃
  • 구름많음군산22.6℃
  • 흐림대구23.5℃
  • 구름많음전주24.2℃
  • 흐림울산20.7℃
  • 흐림창원19.8℃
  • 흐림광주21.2℃
  • 흐림부산19.1℃
  • 구름많음통영18.5℃
  • 구름조금목포20.1℃
  • 구름많음여수19.3℃
  • 구름많음흑산도18.0℃
  • 구름많음완도20.7℃
  • 구름많음고창22.0℃
  • 구름많음순천21.6℃
  • 흐림홍성(예)22.7℃
  • 구름많음22.5℃
  • 흐림제주18.0℃
  • 흐림고산17.2℃
  • 흐림성산18.9℃
  • 흐림서귀포18.7℃
  • 구름많음진주20.7℃
  • 구름조금강화20.7℃
  • 구름많음양평23.0℃
  • 구름많음이천22.9℃
  • 구름많음인제23.9℃
  • 구름많음홍천24.1℃
  • 구름많음태백26.1℃
  • 구름많음정선군27.2℃
  • 구름많음제천23.0℃
  • 구름많음보은22.7℃
  • 구름많음천안24.4℃
  • 구름조금보령22.4℃
  • 구름많음부여24.7℃
  • 구름많음금산24.5℃
  • 구름많음23.7℃
  • 구름많음부안23.3℃
  • 흐림임실22.7℃
  • 흐림정읍23.5℃
  • 흐림남원22.9℃
  • 흐림장수22.3℃
  • 구름많음고창군23.1℃
  • 구름많음영광군21.7℃
  • 흐림김해시19.6℃
  • 흐림순창군22.6℃
  • 흐림북창원21.4℃
  • 흐림양산시20.8℃
  • 흐림보성군19.9℃
  • 흐림강진군21.4℃
  • 흐림장흥20.5℃
  • 구름많음해남22.0℃
  • 흐림고흥21.2℃
  • 흐림의령군20.9℃
  • 구름많음함양군23.6℃
  • 구름많음광양시21.8℃
  • 구름조금진도군21.2℃
  • 구름많음봉화21.9℃
  • 구름많음영주21.5℃
  • 구름많음문경22.4℃
  • 구름많음청송군25.0℃
  • 흐림영덕25.6℃
  • 구름많음의성24.7℃
  • 구름많음구미24.6℃
  • 흐림영천22.4℃
  • 흐림경주시23.7℃
  • 구름많음거창22.6℃
  • 구름많음합천22.6℃
  • 흐림밀양21.5℃
  • 구름많음산청22.0℃
  • 흐림거제19.5℃
  • 구름조금남해20.0℃
  • 흐림20.4℃
기상청 제공
제철유적인 장수 대적골 유적에서 청동제 소형 동종 확인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뉴스

제철유적인 장수 대적골 유적에서 청동제 소형 동종 확인

noname01.jpg
<'라'구역에서 출토된 범종>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의 허가를 받아 장수군(군수 장영수)이 추진하고 전주문화유산연구원(원장 유철)이 조사한 장수 대적골 유적에서 호남 동부지역에서는 처음으로 후백제~조선 시대 것으로 보이는 종합 제철유적이 다수 확인되었다.


  전북 장수군 장계면 명덕리 산154-1번지 일원의 계곡부 평탄면을 따라 넓은 범위에서 확인된 이 제철유적은 정상부에서부터 5개 구역(가~마)으로 구분하였다.


  이번 발굴조사는 해당 유적의 3차 발굴조사로, 전체를 가~마로 5구역으로 나눴을 때 ‘다~마’구역에 해당하는 지역에서 이루어졌으며, 특히, ‘라’구역 후백제 문화층에서는 온전한 형태의 청동제 소형 동종이 출토되었다. 또한, 동종이 나온  ‘라’구역에서는 숯가마와 철 생산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되는 통일신라∼조선 시대 건물지도 중첩되어 확인되었다.

건물지 주변에서는 삼국∼고려 시대 토기, 청자 조각, 기와 등이 출토되었는데, 이 중에서 후백제 기와가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청동제 동종(銅鐘)은 높이 26.5㎝, 지름 10∼15.6㎝크기로, 비록 작지만 일반적인 범종(梵鐘)의 형태를 온전히 갖췄다. 매달 수 있는 용뉴부분에 1개체의 용과 음통이 조각되어 있으며, 용뉴의 바닥이자 종의 천정부분인 천판의 가장자리에는 입상화문(立狀花文)이 둘러져 있다. 종의 가장 상부와 하부인 상대와 하대에는 꽃가지무늬(당초문양, 唐草紋樣)가 둘러져 있고 상대 아래에는 4개의 연곽(상대 밑에 붙어있는 네모난 테)이 있는데 각각의 연곽 안에는 9개의 연뢰(연꽃봉오리 형태로 돌출된 장식)가 매우 볼록하게 돌출되어 있다. 또한, 몸체에는 돋을새김으로 새겨진 2개의 연꽃무늬 당좌가 있고 당좌 사이에는 연꽃자리에 앉아 합장하고 있는 2구의 불보살(佛菩薩)상이 장식되어 있는 등 전체적으로 비교적 세련되고 표현이 우수한 형상이다.
  * 당좌: 종을 칠 때 망치가 닿는 자리


 일반적으로 범종은 구리로 제작되어 동종으로도 불리는데, 시간을 알리거나 공양과 예배시간을 알리는 중요한 기구이다. 이번 경우처럼 소형 동종은 경주 지역 등에서 몇 건 출토된 적이 있었으나, 전북 지역에서는 처음으로 발굴조사 과정에서 출토된 것으로 대적골 유적의 다양한 성격을 유추해 볼 수 있는 좋은 사례다.


  ‘다’구역에서는 제련로 4기, 단야로(鍛冶爐) 2기, 추정 용해로 1기, 석축시설 1기, 퇴적구(폐기장)가 확인되었으며, 상단부인 동쪽을 제외하고 U자형으로 석축을 쌓아 작업공간을 조성한 것으로 보인다. 제련로는 4기가 중복된 양상이며, 둥근 사각형태(말각 장방형)의 상형로로 점토를 이용하여 축조하였다. 제련로에서는 배재부와 송풍구 등이 확인되었다. 단야시설과 추정 용해로는 점토와 석재를 이용하여 축조하였다. 퇴적구(폐기장)는 길이 35m, 너비 20㎝, 깊이 2.5m 내외의 규모로 노벽(爐壁), 노내재(爐內滓), 유출재(流出滓) 등이 쌓여있는 상태로 확인되었다.
  * 제련로(製鍊爐): 철광석을 녹여 철을 만드는 가마
  * 단야로(鍛冶爐): 철 소재를 600∼700°C의 온도에서 가열하는 단야 공정에 필요한 노
  * 배재부(排滓部): 조업 중에 노 내부에서 흘러나오는 슬래그 등의 불순물을 받아내는 구덩이
  * 노내재(爐內滓): 제철조업에서 생성되는 철재 중 조업을 할 때 노 밖으로 유출되지 않고 내부에 남은 철재
  * 유출재(流出滓): 제련 공정에서 철보다 녹는점이 낮은 각종 불순물이 먼저 녹아 흘러나와 굳어진 철재
  * 노벽편(爐壁片): 깬 돌(할석)이나 짚 등의 유기물을 섞은 점토로 만든 노의 벽체 조각


 ‘마’구역에서는 호남지역에서는 처음으로 거푸집 생산 가마와 퇴적구가 확인되었다. 그간의 조사를 통해 대적골 유적은 철광석의 채석부터 주조(鑄造) 또는 단조(鍛造)에 이르는 일체의 제철과정을 볼 수 있는 종합 제철유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거푸집: 주물을 부어 물건을 주조하는 틀
  * 주조(鑄造): 쇠를 녹여 거푸집에 부어 만듦
  * 단조(鍛造): 금속을 두드리거나 눌러서 만듦


 발굴조사 기관은 장수 대적골 유적의 고고학적인 가치를 고려하여 앞으로 유적의 성격 규명을 위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학술조사를 이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자료제공 :(www.korea.kr)]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