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30 (목)

  • 흐림속초17.7℃
  • 흐림19.6℃
  • 흐림철원19.0℃
  • 흐림동두천19.6℃
  • 흐림파주18.3℃
  • 흐림대관령15.1℃
  • 흐림춘천19.6℃
  • 구름많음백령도14.5℃
  • 흐림북강릉18.3℃
  • 흐림강릉20.4℃
  • 흐림동해18.9℃
  • 흐림서울22.0℃
  • 구름많음인천20.3℃
  • 흐림원주21.0℃
  • 흐림울릉도17.7℃
  • 흐림수원20.7℃
  • 흐림영월19.4℃
  • 흐림충주19.7℃
  • 흐림서산20.6℃
  • 흐림울진18.7℃
  • 흐림청주23.5℃
  • 흐림대전22.1℃
  • 흐림추풍령20.1℃
  • 흐림안동22.3℃
  • 흐림상주21.8℃
  • 흐림포항20.1℃
  • 흐림군산20.1℃
  • 흐림대구23.7℃
  • 흐림전주21.9℃
  • 흐림울산19.1℃
  • 흐림창원20.3℃
  • 흐림광주21.5℃
  • 흐림부산19.7℃
  • 흐림통영19.4℃
  • 비목포19.8℃
  • 흐림여수20.2℃
  • 흐림흑산도16.6℃
  • 흐림완도19.4℃
  • 흐림고창20.2℃
  • 흐림순천18.2℃
  • 흐림홍성(예)21.7℃
  • 흐림20.6℃
  • 비제주21.1℃
  • 흐림고산19.6℃
  • 흐림성산20.4℃
  • 흐림서귀포20.8℃
  • 흐림진주21.0℃
  • 흐림강화18.7℃
  • 흐림양평20.7℃
  • 흐림이천19.8℃
  • 흐림인제18.1℃
  • 흐림홍천19.0℃
  • 흐림태백16.2℃
  • 흐림정선군18.6℃
  • 흐림제천19.4℃
  • 흐림보은20.1℃
  • 흐림천안20.1℃
  • 흐림보령19.1℃
  • 흐림부여20.9℃
  • 흐림금산20.8℃
  • 흐림20.9℃
  • 흐림부안20.4℃
  • 흐림임실19.7℃
  • 흐림정읍20.7℃
  • 흐림남원22.4℃
  • 흐림장수18.4℃
  • 흐림고창군19.2℃
  • 흐림영광군19.5℃
  • 흐림김해시20.1℃
  • 흐림순창군22.4℃
  • 흐림북창원22.3℃
  • 흐림양산시21.8℃
  • 흐림보성군21.1℃
  • 흐림강진군
  • 흐림장흥
  • 흐림해남19.6℃
  • 흐림고흥19.6℃
  • 흐림의령군22.0℃
  • 흐림함양군20.0℃
  • 흐림광양시20.7℃
  • 흐림진도군18.4℃
  • 흐림봉화18.2℃
  • 흐림영주19.9℃
  • 흐림문경19.5℃
  • 흐림청송군20.1℃
  • 흐림영덕18.2℃
  • 흐림의성21.8℃
  • 흐림구미22.0℃
  • 흐림영천21.7℃
  • 흐림경주시21.3℃
  • 흐림거창18.9℃
  • 흐림합천21.7℃
  • 흐림밀양23.4℃
  • 흐림산청21.0℃
  • 흐림거제19.8℃
  • 흐림남해19.5℃
  • 흐림20.7℃
기상청 제공
식중독 주의! 끓였던 음식도 보관관리 필요해요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식중독 주의! 끓였던 음식도 보관관리 필요해요

- 일교차 큰 봄철, 클로스트리디움 퍼트린젠스 식중독 발생 많아-
- 가열 조리해도 식중독 발생할 수 있어, 식품 보관온도 관리 철저 당부 -

 

경상북도는 일교차가 큰 봄철에는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 식중독이 특히 많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조리음식 보관관리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2._식중독_예방_6대수칙_포스터.jpg

 

식중독 발생이 많은 이유는 낮에는 기온이 높으나 아침과 저녁에는 쌀쌀한 날씨로 음식물 관리에 대한 경각심이 낮고, 야외 활동 증가로 음식을 장시간 상온에 방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인 것으로 보고 있다.


퍼프린젠스균에 의한 식중독은 음식을 제대로 익히지 않았거나 상온에 방치하는 것이 주 원인으로 음식 조리·보관 시 주의를 기울이면 충분히 예방할 수 있으므로 조리 식품의 보관방법과 온도를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이 균은 열에 강한 아포*를 만드는 특성이 있어 음식을 끓였던 경우라도 다시 증식하는 특성을 보이기 때문에 대량으로 조리된 식품의 보관관리에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 아포(spore) :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 등의 세균이 고온, 건조 등 생존이 어려운 환경에서 만들어내는 것으로 아포형태로 휴면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다시 자랄 수 있는 환경이 되면 아포에서 깨어나 다시 증식

 

따뜻하게 먹는 음식은 60이상, 차갑게 먹는 음식은 빠르게 식혀서 5이하에서 보관해야 하며, 보관된 음식을 먹을 때는 75이상으로 반드시 재가열해야 한다.


또한 봄철 나들이 할 경우 조리된 도시락은 아이스박스를 이용하여 보관·운반하고, 김밥 등 조리식품은 2시간 이내 섭취해야 한다. 그리고 육류와 수산물, 어패류는 실온에서 2시간 이상 방치하지 말고 75(어패류 85)이상에서 1분이상 충분히 익혀 먹어야 한다.


식중독은 특정 계절에만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식중독 예방을 위해서는 손 씻기 구분 사용하기 익혀먹기 세척·소독하기 끓여먹기

보관온도 지키기 등 식중독 예방 6대수칙을 늘 실천하여야 한다.

 

* 계절별 주의해야 할 식중독 : (퍼프린젠스), 여름(병원성대장균, 장염비브리오 등), 가을(살모넬라 등), 겨울(노로바이러스 등)

 

황영호 복지건강국장은 식중독은 사전예방이 가장 중요하다면서 앞으로 식중독 예방요령 등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홍보·안내하여 안전하고 위생적인 식생활 환경 조성에 더욱더 힘쓰겠다라고 밝혔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